국전면역클리닉

면역력 증강으로 치료하는 클리닉을 안내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한의학에서 면역이라는 용어는 명대의 <면역류방 免役類方>에서 나타난다.

면역에 대한 개념은 이미 수천년전의 황제내경에서 나타나고, 현재 한의사의 임상에서 기준이 되는 개념이다.

황제내경에 사람이 질병을 이겨내는 원리를 “내 몸안의 기운이 꽉 차서 정상적으로 활동이 되고 있으면 내외부의 사기가 침입하거나 발생하여 병을 일으킬 수 없다.(正氣存內 邪不可干)”라고 하였고, 병이 생기는 원리를 “사기가 내몸에 모여들게 되는 것은 그 사람의 기운이 약하기 때문이다.(邪氣所湊 其氣必虛)” 라고 밝히고 있다.

정기의 허약을 질병발생의 주원인으로 인식하고 정기를 도와서 사기를 없애는 방법(扶正祛邪法)을 주로 임상에 사용하고 있다. 병의 인식에 있어 발병유발인자에 중점을 두기보다 발병되는 몸의 상태에 더 중점을 두어 치료를 하고 있다.

이를 서양의학에 대비시켜 보면 선천면역 또는 자연면역이론과 매우 유사점이 많다고 보여진다. 요즈음에는 암치료에 있어서 양의학에서도 일반 화학적요법과 함께 체내 면역성을 높여서 치료를 하는 면역요법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정기(正氣)의 생성을 살피면 면역과 관련된 장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기의 생성에 관해 황제내경 <자절진사편(刺節眞邪篇)>에서는 “진기는 천에서 받은 것으로 곡기와 합해져서 몸을 길러주는 것이다.(眞氣者 所受於天 與穀氣倂而充身者也)”라고 하고 있다.

진기는 부모에게서 태어날 때 물려받은 기운 즉 원기(元氣)를 뜻하고 있다. 즉 원기는 부모에게서 받은 선천지기(부모의 정자, 난자를 결합을 통해서 정기신과 기혈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 생긴 유전적인 요소 등을 의미함)에 근본을 두고 있으므로 신(腎, Kidney의 의미보다 포괄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곡기와 더불어 인체를 充養한다는 것은 부모의 정기신을 받아서 태어난 몸이 후천지기(폐에서 받아들여진 공기와 비위에서 받아들여진 음식)와 합해짐으로써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뜻한다

 

腎, 脾胃, 肺이 氣의 生成의 주요장부인 것이다.

先天의 精은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고 水穀의 正氣는 음식으로 비위를 통해서 흡수되고 淸氣는 폐를 통해서 받아들여진 맑은 공기를 의미한다.

오장육부가 모두 중요하지만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비, 폐, 신의 기능을 원활하는 것이 몸의 정기를 유지하는 것이며 면역력을 높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한의학에서는 肺, 脾, 腎의 3臟을 免疫關係 臟腑로 중요시 하고 있다.

<陰陽應象大論>에서는 “天氣通于肺”, <決氣篇>의 “中焦受氣 聚汁變化而赤 是爲血” 및 <營衛生會篇>의“衛出於下焦”라고 나타나있다.

몸의 상부에서는 폐가, 몸의 중앙에서는 비위가, 몸의 하부에서는 신의 정상적인 활동 즉 삼초의 활동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로 면역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의 허증의 치료는 크게 폐허, 비허, 신허로 나누어 치료한다. 면역기능저하의 정도에 따라 해당장부의 기능을 활성화하여야 몸전체의 정기가 충만해 지는 것이다. <傷寒雜病論>에서는 <五隆津液別論>의 ‘脾爲之衛'를 바탕으로 하는 ‘四季脾旺不受邪'를 논하고 있는데 脾胃의 기능이 왕성하면 타 臟腑에로의 轉變이나 병이 생기더라도 빨리 낫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니 소아의 치료나 허약인에 있어서 비위의 기능의 확보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몸의 상태에 따라 비폐신의 정기를 확보해 두는 것이 질병예방의 지름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한의원에서는
폐기능과 관련된 아토피나 기미, 주근깨, 천식, 비염
비위기능과 관련된 복부비만
신기능과 관련된 성장저하와
외부적인 요소에 의한 화상 등에 대하여

한의학적으로 면역기능을 높임으로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요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1997 © http://www.kjhani.com